[▲2019년 기준 한·중·일의 對아세안국가 수출 구성 = ©전국경제인연합회]

[AP신문 = 김상준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은 21일 정부가 2017년 7월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한 신남방정책 실행 4년을 맞이해 경제적 성과와 향후 정책개선과제를 분석·발표했다.

정부는 2018년 11월 신남방정책특위 1차 회의에서 2020년 아세안 10개국과 연간 교역 2000억달러, 연간 상호 인적교류 1500만명 달성을 정책목표로 정하고 ▲무역·투자 증진 제도적 기반 강화 ▲연계성 증진 아세안 인프라 개발 참여 등 5개 경제정책과제를 실행해 왔다.

그러나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중국이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우회 수출기지로 활용했으며, 대만이 탈중국 신남향정책을 전개하면서 한국의 입지는 축소됐다.

전경련은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2010년부터 2019년가지의 연평균 증가율을 대입해 아세안 10개국과의 교역·인적교류를 산출한 결과, 지난해 아세안 10개국과의 교역목표 달성률은 82.3%(1,645억 달러)를 기록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아세안 교역목표 달성률이 80%대에 그친 반면, 상호 인적교류는 크게 늘었다. 2016년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 이후 한국 국민의 동남아 관광수요 증가, 아세안 국가의 K-Pop 체험 관광수요 증가로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아세안 10개국 인적교류는 연평균 12.7% 늘어 2019년 1268만명까지 확대됐다. 지난해 코로나19가 발생치 않았을 경우, 1430만명을 달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2020년 한-신남방 교역이 정부 기대치인 2000억달러에 못 미친 것은 베트남을 제외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등 5개 국가와의 교역이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19년 기준 GDP 1조1000억달러로 세계 16위인 인도네시아의 기계류 부품, 전자기기, 철강, 플라스틱 등에 대한 수입수요가 감소하면서 한국의 對인도네시아 수출이 18.2% 줄어들었다.

아세안 10개국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의 점유율은 2017년 7.7%에서 작년 6.9%로, 0.8%p 하락했다. 이 기간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對미 직접수출이 어렵게 되자 신남방국가에 대한 수출을 확대하고 우회 수출기지로 활용함에 따라 점유율은 20%에서 2.4%p 상승한 22.4%를 기록했다. 한국보다 1년 앞서 2016년부터 신남향정책을 전개한 대만의 경우는 2017년 5.4%보다 0.2%p 상승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신남방이 미·중 패권전쟁의 격전지로 떠오르며 중국, 일본 등이 전체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안보·경제외교 역량을 균형 있게 집행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이들 국가와 비교해 對아세안 전체 수출 중 베트남 의존도(2019년 기준 수출 51%)가 지나치게 높다”고 말했다.

이어 “베트남 이외 아세안 국가로 수출시장이 다변화될 수 있도록 통상당국은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과 한-캄보디아 FTA의 조속한 비준·발효,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비준 등, 적극적인 통상전략을 전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AP신문 | 온라인뉴스미디어 에이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