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신문=김강진 기자] 제5기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가 4월에 출범한다는 기사(기자협회보 3월 26일 자)가 나온지 3개월이 지났다. 

이후 5월 29일에 제평위 첫 회의가 열린다는 보도(미디어스 5월 26일 자)가 무색하게도 아직 회의는 개최되지 않았다.

회의가 열리지 않은 이유는 코로나19 상황 때문이다. 미디어스는 뉴스 제휴 입점 심사를 기다리는 한 매체의 말을 인용해(미디어스 6월 3일 자) 화상회의 등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을 전하기도 했다. 제평위 사무국은 제평위 논의 구조상 토론 회의를 진행하기 때문에 토론이 힘든 화상 회의는 할 수 없다는 답변을 내놨다. 즉 온라인으로 하는 회의는 토론이 어렵다는 얘기다.

군색한 답변이고 납득할 수 없다. 국회와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정회의는 코로나19 상황을 무시하고 오프라인에서 회의를 여는 걸까. 화상으로 회의를 하고 토론을 하는 기업들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항간에는 올해부터 포털 뉴스 제휴 입점 심사가 기존처럼 연간 2회가 아닌 7월에 딱 한 차례 접수하는 '연간 1회' 심사로 축소된다는 루머가 떠돌고 있다. 

기존에는 4월경에 상반기 접수를, 11월경에 하반기 접수를 받았다. 통상적으로 검색ㆍ스탠드ㆍCP를 합해 상ㆍ하반기 제휴 심사를 신청하는 매체는 1,000여 개 매체가 된다. 

작년까지는 총 1,000여 개 매체를 약 400~600개씩 2회로 나눠 심사를 했다. 연간 1회로 축소되면 한꺼번에 1,000여 개의 매체를 심사해야 된다. 2회로 나눠서 심사했을 때는 접수 시작부터 발표까지 3개월이 넘게 걸렸다. 만약 1회로 축소되면 접수부터 발표까지 6~7개월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온다. 

3기까지 활동했던 전 제평위 위원의 말에 따르면, 심사위원 1인당 맡은 매체가 워낙 많아서 1개의 매체를 보는 시간이 아무리 길어도 5분을 넘길 수 없다고 한다. 연간 1회로 축소되고 기존처럼 심사 기간을 3~4개월 안에 끝내려면 각 매체에 대한 평가를 대충대충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실 제휴평가위원회의 심사 일정에 대해 글을 쓰고는 있지만 그냥 뇌피셜일뿐이다. 어디 한 군데라도 정보가 나와 있는 곳이 없다. 취재력이 좋은 미디어오늘과 미디어스도 보도한 적이 없다. 심지어 첫 회의 날짜 오보까지 냈다.

제평위는 대기업에 준하는 양대 포털이 만든 외부 기구다. 그런데 이 기구는 음지에서 일한다는 것을 모토로 삼은 국정원처럼 음지에 갇혀 있다. 제평위원의 명단도 최근에야 미디어오늘을 통해서 공개됐을 뿐이다. 회의 일정도 비공개, 회의 내용도 공개되지 않는다. 취재 접근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동네에서 열리는 작은 행사도 일정이 변경되면 미리 공지를 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우리 매체가 주로 취재하는 국내외 광고ㆍ마케팅ㆍPR 관련 행사가 코로나19로 취소되거나 일정이 변경돼도 기자들은 손바닥 보듯 훤하게 행사 변경 소식을 알 수 있다. 조금만 일정이 변경돼도 홈페이지 공지나 메일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평위는 회의가 취소돼도, (심사) 일정이 변경돼도 공지를 하지 않는다. 그 흔한 홈페이지도 없다. 말이 되지 않는다. 홈페이지 하나 만드는 건 쉽고 간단한 일이다. 국정원도 홈페이지는 있다.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심사 일정과 발표일
 

제평위가 하는 중요 활동 중의 하나가 매년 두 차례 포털 제휴 입점심사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제휴 심사에 응모한 매체는 정보가 전무하다. 접수한 매체는 언제 발표하는지도 모르고, 어떤 이유로 탈락했는지도 모른다. 점수도 모른다. 

유일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제평위가 안내하는 문서에 적힌 심사기간이 최소 4주~최장 10주라는 것뿐이다. 최장 10주라는 뜻은 심사기간을 10주(약 2개월 반 정도) 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하지만 접수에서 결과 발표까지 항상 10주를 넘겼다. 그런데도 왜 심사 기간을 넘겼는지 해명도 없다. 10주째부터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매체는 피가 마른다. 

이번에 출범한 5기 제평위원 30명 중 절반이 넘는 17명이 처음 제평위에서 활동하는 분들이다. 새롭게 참여한 분들이 과반이 넘는다는 얘기다. 새로운 분들은 그동안 관행으로 여겨온 비밀유지를 공의를 위해 과감히 없애는 데 앞장섰으면 한다. 그리고 더는 음지에 숨어있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 © AP신문 | 온라인뉴스미디어 에이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