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신문= 김글 객원기자] 필자는 한 광고회사의 카피라이터로 일하고 있다. 광고회사에서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위해 광고회사가 하는 일은 무엇인지 광고회사의 제작팀과 광고회사의 카피라이터가 하는 일은 무엇인지 본인의 경험을 담아 글을 쓰려고 한다. 광고회사를 지망하는 모든 이들에게 한 톨이라도 자양분으로 기능하길 바란다.

[광고회사 제작팀으로 일하기 연재 순서]

(1) 클라이언트 이해하기

(2) 기획팀 이해하기

(3-A)매체팀 이해하기 - (전통미디어)

(4) 프로덕션 이해하기

매체 바잉 파워는 광고회사의 중요한 경쟁력 중 하나다. 사진 언스플래쉬
광고, 언론, 홍보 등 관련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 학"을 배웠다면 미디어는 메시지라고 주창한 마샬 맥루한의 이름을 기억할 것이다. 내용이 어려워서 과제 및 시험 준비를 하는데 애먹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면..!)

미디어는 어렵다. 매체팀이 하는 일도 어렵다. 하지만 광고업의 시초는 매체 지면을 팔던 것. 광고의 근본인 매체를 모르고선 광고를 할 수 없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 전통 ATL* 매체팀과 디지털 퍼포먼스 매체팀을 구분하여 설명하려 한다.

*ATL (above the line; TV, 라디오, 신문, 잡지의 4대 매체)

먼저 종합광고대행사의 전통 ATL 매체팀은 플래너와 바이어로 나뉜다.

플래너는 매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플랜을 짜고 바이어는 광고를 집행하길 원하는 매체의 지면을 클라이언트 대신 구입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제품이 [나 혼자 산다] 시청자들에게 먹힐만하다면 [나 혼자 산다]가 끝난 직후의 광고지면을 구매하는 식이다.

흐름은 이렇다. 기획팀이 클라이언트의 오티를 받고 방향을 협의하면서 제작팀과는 광고물 제작에 관한 논의를, 매체팀과는 매체 플래닝에 대한 논의를 한다. 방향이 정해지면, 제작팀은 아이디어를 짜기 시작하고 매체팀은 짜 놓은 매체 플랜에 따라서 해당 매체 지면 부킹(booking)을 준비한다.

TV매체의 경우, 매월 중순에 채널별로 판매 안이 나온다. 플래닝 팀은 클라이언트 별로 청약 제안서를 작성해 확인을 받은 후 매체 바잉팀에 전달한다. 보통 제작물이 완성되기 전 미리 지면 구매가 완료된다. 매체 바잉팀은 좋은 지면을 좋은 가격에 미리 확보하고 피치 못하게 제작물이 완성되지 않으면 매체 담당자와의 협상을 통해 융통성 있게 홀딩하기도 한다. 이것이 매체 바잉 파워다.

매체 바잉 파워는 광고회사의 중요한 경쟁력 중 하나다. TV매체 지면은 부킹을 원하는 지면 이외에 시보나 재방송 등의 서비스를 합쳐서 패키지로 판매된다. 이때 패키지의 구성과 양을 조절해서 유리한 방향으로 확보해내는 것도 모두 매체 바이어들의 역량이다. 규모가 큰 광고 회사일 수록 거래량이 많고 오랜 기간 신뢰가 쌓여있기에 매체 바잉 파워가 클 수밖에 없다.

제작물이 매체를 타기 시작하면 평가의 시간이다. 가장 대표적인 TV광고 효율 평가 수치는 해당 광고의 광고 시청률을 모두 더한 GRP(Gross Rating Points)다.

닐슨 코리아에서는 각종 매체들의 티비 프로그램 및 광고 시청률 수치를 매일 오전마다 매체팀에 전달해주는데, 매체팀은 GRP 효율이 나오지 않는 지면을 교체하거나 매체 서비스를 더 확보해서 효율을 메우기도 한다. 이렇게 집행된 광고에 대한 리포트를 클라이언트들에게 전달하는 것 까지가 기본적인 매체팀의 업무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마샬 맥루한은 광고가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예술형식이 되었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오길비는 광고가 예술이 아닌 과학이라고 했다. 광고를 예술적인 경지로 끌어올리는 것은 광고를 과학으로 완성시키는 매체 전략의 힘일 것이다.

저작권자 © AP신문 | 온라인뉴스미디어 에이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